ISSUE 22
(파라과이: CONATEL) Wi-Fi 6E (6GHz) 대역 승인 허용
Global 05 : 파라과이 (파라과이: CONATEL) Wi-Fi 6E (6GHz) 대역 승인 허용 2025년 4월 23일, 파라과이 CONATEL은 RLAN Device의 6GHz대역 사용을 허가하는 결의안(Resolución Directorio N° 1035/2025)을 발표했습니다. 다만, 6GHz 하위 대역만 허용되기 때문에, 파라과이 내 유통되는 모든 Wi-Fi 6E 기기들은 6GHz 상위 대역을 비활성화 해야 합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내용] - 허용 대역: 6GHz 하위 대역(5,925 – 6,425MHz) - Wi-Fi 6E로 인증 진행 시, 제품 라벨 또는 패키지에 아래 문구 표기 필요. En Paraguay, este equipo deberá ser configurado para operar con las limitacio…
ISSUE 22
(버뮤다: RA 면제 규정) Bluetooth와 Wifi only 기기에 대한 승인 면제 조항 발표
Global 04 : 버뮤다 (버뮤다: RA 면제 규정) Bluetooth와 Wifi only 기기에 대한 승인 면제 조항 발표 버뮤다 규제 당국(RA)은 2025년 2월 14일부터 Bluetooth 및 Wi-Fi 대역에서만 동작하는 무선 기기에 대해 개별 형식 승인 신청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만, 제조업체와 수입업체는 이러한 기기가 FCC, ISED, ETSI에서 제정한 기술 및 규제 표준을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출처: BLUETOOTH & WI-FI EXEMPTIONS MEMO
ISSUE 22
(칠레: SUBTEL인증) SRD 장비 인증 Scope 변경 및 QR code 의무화 시행
Global 03 : 칠레 (칠레: SUBTEL인증) SRD 장비 인증 Scope 변경 및 QR code 의무화 시행 2025년 5월 22일, 칠레 SUBTEL는 단거리 통신기기(SRD)에 대한 기술 표준을 개정하는 결의안 737호(Resolución 737 EXENTA)를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내용] - 적용일: 2026년 2월 22일 1) 인증 Scope 변경 SUBTEL 인증 대상: 의료용 SRD 제품(MICS)로 한정1 저전력 통신기기(LPD)는 SUBTEL인증 대상에서 제외 …
ISSUE 22
(일본: 5G mmWave) 5G mmWave 26-40 GHz 주파수 기술적 검토
Global 02 : 일본 (일본: 5G mmWave) 5G mmWave 26-40 GHz 주파수 기술적 검토 2025년 5월 23일, 일본 정보통신심의회는 초고속·초저지연 5G 통신의 미래를 위한 전략으로 26GHz 및 40GHz의 고주파(mmWave) 대역을 5G에 본격 도입하기 위한 기술 조건을 공개했습니다. 고도화된 통신 환경을 위해 주파수 재편을 검토하고 있으며, 위성통신·천문관측 등 기존 시스템과의 공존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본 내 트래픽 급증 - 24년 기준, 일본에서 3년사이 이동통신 트래픽이 약 70% 증가 됨에 따라, 더 큰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통신 대역의 필요성이 대두됨. 2) 해외 국가와의 기술 공존 - 미국(3…
ISSUE 22
(일본: Emergency Call) 전기통신사업법 Emergency Call 시험 추가
Global Global Regulatory Updates SCROLL Global 01 : 일본 (일본: Emergency Call) 전기통신사업법 Emergency Call 시험 추가 2025년 7월 1일부터, 일본 전기통신사업법(JATE) 인증에서, 개정된 Emergency call 법령이 시행될 예정입니다. 비상 시 통신사업자 망 간 Roaming 을 통한, 비상전화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며, VoLTE를 통한 음성통화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가 대상입니다. Dual SIM 또는 eSIM을 사용하는 기기가 기본 SIM을 통한 비상통화 연결이 실패할 경우, 다른 SIM을 통해 다른 사업자에 비상통화 연결을 하는 기능을 확인하는 시험이 추가 되었습니다. 현재, VoLTE를 통한 …
ISSUE 20
(인도네시아: DJID 출범) 통신인증기관 개편
Global 08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DJID 출범) 통신인증기관 개편 인도네시아 SDPPI 와 PPI 가 합병되어 DJID (Direktorat Jenderal Infrastruktur Digital) 로 승인기관명이 변경되었습니다. 2025년 1월 20일 이후 발행되는 승인서에는 새로운 로고가 적용된 신규 양식과 QR Code 가 적용됩니다. 또한 승인번호 양식도 변경되지만, 기존에 받은 승인서는 계속 유효합니다. 출처: Regulation of the Minister of Communication and Digital Number 1 of 20
ISSUE 20
(멕시코: 현지 시험) WLAN 5 GHz 및 6 GHz 현지 시험 시행
Global 07 : 멕시코 (멕시코: 현지 시험) WLAN 5 GHz 및 6 GHz 현지 시험 시행 2월 10일, 멕시코 IFT (Instituto Federal de Telecomunicaciones) 는 WLAN 5 GHz 및 6 GHz 에 대해 현지 시험 강제화를 발표하였습니다. 기존에 일부 5 GHz 대역은 문서 검토로만 승인을 내주었으나, 이번 발표로 2025년 11월 7일부터 WLAN 5 GHz 및 6 GHz 에서 반드시 현지 시험이 요구됩니다. 그전까지 문서 검토로도 승인이 가능하며, 현지 시험 강제화 이후에 업데이트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출처: IFT-017-2023
ISSUE 20
(모로코: 라벨, SAR 표기) 라벨 및 SAR 표기 사항 업데이트
Global 06 : 모로코 (모로코: 라벨, SAR 표기) 라벨 및 SAR 표기 사항 업데이트 지난 12월 30일, 모로코 ANRT 는 라벨과 SAR 표시 사항에 대해 업데이트를 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내용] 1)적용일: 2025년 1월 1일 2) 라벨 및 SAR 표시 사항 ① ANRT 마킹 필수 표시 - ANRT 로고와 하단에 인증번호를 표기해야 함 (아래 디자인 중 하나를 선택) ② 디스플레이가 있는 제품에 한하여 전자 라벨(E-…
ISSUE 20
(일본: 드론) 휴대전화 등의 상공 이용 도입을 위한 제도 정비
Global 05 : 일본 (일본: 드론) 휴대전화 등의 상공 이용 도입을 위한 제도 정비 최근 이동통신 기기를 드론 등에 탑재하여 상공에서 인프라 시설을 점검 및 공중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수요가 급증하면서, 일본 총무성이 이동통신(휴대전화), BWA 및 로컬 5G의 상공 이용을 위한 제도 정비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습니다. TDD 방식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휴대 전화, BWA 및 로컬 5G의 상공 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정 총무성령(안)을 작성했으므로, 2025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해당 총무성령(안)에 대한 의견 수렴을 진행합니다. 출처: 신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 위원회 보고서(안) 개요
ISSUE 20
(일본: TPMS 및 RKE) 433MHz 대역 TPMS 및 RKE의 법제화
Global 04 : 일본 (일본: TPMS 및 RKE) 433MHz 대역 TPMS 및 RKE의 법제화 일본 총무성(MIC)이 433MHz 대역에서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 및 원격 키리스 엔트리(RKE) 시스템 사용을 공식적으로 허용하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개정은 2025년 2월 27일 조례 제5호로 공포되었으며, 이를 통해 일본은 국제 기준과의 조화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출처: 전파법 시행 규칙 등의 일부를 개정하는 성령